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DispatcherServlet
- 스프링
- 그래이들
- IntelliJ
- java8
- Java
- 빌더패턴
- ApplicationContext
- Gradle
- WebApplicationType
- JavaScript
- RequestMapping
- spring boot
- 그래들
- Bean Scope
- okhttp
- Lombok
- 어플리케이션컨텍스트
- annotationProcessor
- 토비
- AOP
- Thread-safe
-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
- testAnnotationProcessor
- 트랜잭션
- ConcurrentHashMap
- 빈 스코프
- mybatis
- Spring
- DataSet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controller (1)
나만보는페이지
boot-2.1.3(spring 5.1.5) 기준으로 작성하였다. 스프링에서 컨트롤러 메서드가 URL 에 매핑 되는 과정을 살펴본다. 개인적으로 스프링은 naming 이 정말 쉽게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. RequestMapping 과 관련된 빈의 이름은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이다. 빈 이름으로만 어떤 역할을 하는지 추정해보면 RequestMapping 과 Handler 를 매핑해 주는 빈이라고 유추가 가능하다. 빈 초기화는 ApplicationContext refresh 과정(11) 중에 일어난다. @Bean으로 설정 되어있는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빈의 생성 후 초기화(InitializingBean) 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보자! 클래스 ..
spring
2020. 4. 1. 23:51